文대통령 김영철 문재인 회담 비핵화
文대통령 김영철 문재인 회담 비핵화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동계 평창올림픽 폐막식 참석을 위해 방한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등 북한 고위 대표단과의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실현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청와대 당국자가 26일 기자들에게 밝혔습니다.
전체 발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연합뉴스 등 복수의 한국 미디어에 따르면, 비핵화를 향한 구체적인 로드맵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文대통령은 지금까지 북한의 핵/미사일 활동 동결을 당면 목표로 하고, 제2단계로 완전 포기를 목표로하는 '단계적 포괄적 접근'을 밝히고 있어 이 2단계 구상을 설명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회담은 비공개로 이루어져 정확한 대화 내용은 알 수 없습니다. 또한 천안함 등 수많은 북한 도발 행위에 대한 사죄도 요구하지 않았습니다.
文대통령은 김영철을 포함한 북한 대표단에게 '남북 관계 개선과 한반도 문제의 본질적인 해결을 위해서라도 빠른 시기에 북미 대화를 개최해야 한다'는 생각을 전했습니다. 민주당 관계자는 '남북 관계의 본질적인 개선'이라는 문구에 대해 "북한은 그동안 남북 대화에서 비핵화 문제를 화두로 거론하게 했다. 이 점을 고려하여 '비핵화'를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대해 김영철은 "미국과의 대화를 할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습니다. 김영철 대변인은 "북한도 남북 관계와 미국과의 관계를 동시에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 점에서 양측은 합의했다"고 밝혔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남북 관계는 앞으로도 폭넓게 확대·발전해야 한다"고 지적했는데, 김영철이 "김정은 국무 위원장도 같은 의지를 갖고 있다"고 맞장구 쳤습니다. 회담에 있어서 문 대통령은 북한 대표단 8명 전원을 접견하고 김영철과 리선권 조국 평화 통일위원회 위원장 두 사람과는 별도로 대화를 나눴다고 합니다.
한편 이날은 김영철의 내한에 의해 한국에서 격렬한 대립이 일어났습니다. 천안함 폭침으로 희생된 장병의 유족과 탈북자들은 북한 대표단이 서울로 가는 길에 통일대교 남단 도로에 나와 "김영철 방남 반대"를 외치는 집회를 했습니다. 정치권 인사들도 이에 가세했습니다. 보수 야당인 자유한국당은 홍준표 대표를 비롯한 수백 명의 당원들이 모여 '김영철은 살인마'라고 외치면서 전날 밤부터 통일대교 남단 도로를 점거하는 시위를 계속했습니다. 따라서 한국 정부는 김영철 일행을 주변에 있는 한국군 작전 지역의 다리에 유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