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해외

트럼프 한미FTA 연기 발언

트럼프 한미FTA 연기 발언

"한미 FTA에서 한국 양보 더 받아내기 위한 의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한미 양국이 원칙적으로 합의한 것으로 발표한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 대해 "북한과의 협상이 타결된 이후로 그것을 미룰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 개정협상 타결을 "위대한 합의(great deal)"로 격찬한지 불과 하룻만에 전혀 다른 발언이 나왔다는 점에서 의외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 시각 29일 오하이오주 리치필드에서 열린 ‘인프라스트럭처(기반시설) 이니셔티브’ 행사에서 연설 중 며칠 전 한국과 미국 당국이 발표한 FTA 개정 합의를 언급했다. 그는 “나는 북한과의 협상이 타결될 때까지 FTA 개정을 보류할 수도 있다”며 “이는 매우 강력한 카드고 모두가 공정하게 대우받길 원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트럼프 한미FTA 연기 발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발언은 이날 남북이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정상회담을 4월 27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한 후 나왔다.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5월 말 이전에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만날 계획이다.


의회 전문매체 더 힐은 "북한으로부터 핵 양보를 견인하기 위해 한미 간 단일한 입장 유지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미국의 일부 관료들 사이에서는 한국이 남북정상회담에서 북한과의 합의 도달에 치우친 나머지 '취약한 합의'로 귀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고 언급, 트럼프 한미FTA 연기 발언은 한국이 북한에 크게 양보할 경우 한미 FTA로 압박을 가할 수도 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백악관 관계자들도 예상치 못한 '돌출발언'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 통신은 백악관과 미 무역대표부(USTR)가 즉각적 반응을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AP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의 잠재적 협상에서 더 많은 레버리지(협상 지렛대)를 얻으려고 한국과 이번 주 마무리한 무역협정을 연기할 것이라고 위협했다"고 전했다.